7월부터 전기세가 오른다고 하여 걱정이신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이런 전기세도 정부에서 이제 현금으로 지원해 준다고 하는데요. 지난 1월에 3개 지역에서만 시범사업으로 실시되었지만 이제는 7월 4일부터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시행됩니다.
아래에서 여름철 전기세 지원금 지급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너지캐쉬백이란?
아파트에 사는 분들은 전기를 아끼면 최소 20만원에서 최대 400만원까지 돌려줍니다. 단체로 가입하는 것이지만 개인적으로도 가입이 가능하여 중족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캐쉬백이라고 하여 전기를 아낀만큼 되돌려 주는 이 사업은 처음에 세종시, 나주시, 진천시의 일부 아파트에서만 진행이 되었는데요. 이제 전국적으로 시행됩니다.
- 세종, 나주, 진천 3개 지역에서 시범실시했음
- 참여율, 시민 호응이 좋았음
- 절감량에 따라서 6개월 단위로 지원할 예정임
전체 참여 세대, 단지의 평균 절감률보다 높은 세대나 단지를 대상으로 해당 절감량에 대한 에너지캐쉬백을 지급합니다. 개별 세대도 똑같이 전국 평균 절감률하고 비교해서 에너지 캐쉬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캐쉬백 지원 대상
에너지캐쉬백의 지원 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에너지 절약에 동참할 의지가 있는 아파트 단지 및 아파트 개별세대
- 주택용 오피스텔, 1년 미만의 신축 아파트는 지원 불가
1년 미만의 신축 아파트는 지원 불가한 이유가 1년 이상의 전기 사용량의 데이터가 있어야 하는데 그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었습니다.
캐쉬백 지급기준
아파트 단지는 아래와 같은 지급기준으로 캐쉬백을 지급합니다.
- 개별세대 : 1kWh 절약시 30원 지급
- 아파트 단지 : 절감량에 따라서 정액 지원 (최대 400만원)
개별 세대는 절감량에 비례하여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 절감량이 10이하 : 20만원 지원
- 절감량이 30이하 : 60만원 지원
- 절감량이 50이하 : 120만원 지원
- 절감량이 70이하 : 180만원 지원
- 절감량이 90이하 : 240만원 지원
- 절감량이 110이하 : 300만원 지원
- 절감량이 130이하 : 360만원 지원
- 절감량이 130초과 : 400만원 지원
아파트 단지는 절감량이 10이하인 경우는 20만원을 지급하며 10초과 30이하는 60만원, 최대 130초과를 절감한 세대는 400만원을 지급합니다. 물론 이런 저런 상황을 고려해서 더 많이 쓸 수도 있지만 조금이라도 적게 쓸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신청을 해두고 보셔야 합니다.
캐쉬백 신청 기간
캐쉬백의 신청 기간은 2022년 7월 4일부터입니다.

- 7월 4일 ~ 8월 31일
에너지캐쉬백 적용 기간은 7월에서 12월까지이며 2020년, 2021년 7월에서 12월의 전기사용량의 평균과 비교하여 지급이 됩니다.
캐쉬백 지급
캐쉬백 지급은 상반기, 하반기의 2개로 나눠서 종료 후 2개월 이내에 지급됩니다. 7월 가입자는 7월부터 적용이 되고 8월 가입자는 8월부터 적용이 됩니다.
집을 장기간 비우는 등의 무임승차 방지를 위해서 최대 절감률 30%와 최소 절감률 3%를 함께 설정합니다.
캐쉬백 신청방법
에너지캐쉬백 신청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전기요금 고지서의 고객번호로 스마트폰 가입
- 한전 에너지마켓플레이스 홈페이지에서 가입
네이버 검색창에 ‘한전엔터’라고 검색을 하여 ‘한전 에너지마켓플레이스’ 홈페이지로 들어가 줍니다. 따로 회원가입을 하실 필요 없으며 에너지효율 > 에너지캐쉬백 > 서비스가입/조회 > 아파트, 개별세대 고객 유형 선택의 순서대로 가입하시면 됩니다. 이때 한전 고객번호가 필요하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이렇게 에너지캐쉬백을 지급받을때는 현금으로 지급받으실 수도 있으며 기부를 선택하여 사회복지공동모금회 사랑의 열매로 기부가 가능합니다.
너무 많이 오른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의 일원으로 에너지캐쉬백이 전국적으로 시행이 됩니다. 신청시에 비용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일단 접수할 것을 권장드리며 이런 유용한 복지제도를 잘 기억해 두셨다가 꼭 전기요금을 현명하게 절약해 보시기 바랍니다. 주위분들에게도 좋은 내용이니 꼭 공유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