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과 뇌의 상관관계가 드디어 밝혀졌습니다” 아무도 몰랐던 자는 동안 뇌에서 일어나는 활동들

우리가 잠은 평균 8시간씩은 자야 한다는 그런 말을 많이 듣곤 하는데요. 실제로 현대 사회에서 8시간씩 잘 수 없는 환경입니다. 한국인의 평균 수면 시간은 7시간 41분에 그쳐서 OECD 국가들 중에서 꼴지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그럼 우리의 수면시간은 도대체 얼마가 되어야 하는지 아래의 수면상태에서의 뇌를 보면 말씀드리겠습니다.

숙면과 건강의 상관관계

숙면과 건강의 상관관계는 이미 밝혀진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아래의 영상인데요. 미국 보스턴 대학의 한 연구진은 최근에 수면중인 뇌를 촬영한 자기공명영상을 하나 공개했습니다.

위의 영상을 잘 보시면 뇌척수액이 잠든 뇌를 구석구석을 깔끔하게 청소하는 장면이 고스란히 담겨있습니다. 보고도 믿기지가 않는데요. 이렇게 잠이 든 상태에서 뇌척수액은 매일 뇌에 쌓이는 독소와 찌꺼기들을 제거하는 일을 합니다.

깊은 잠을 자야지만 청소가 가능

특히 이렇게 뇌척수액이 밤새도록 뇌를 깔끔히 청소하는 시간대는 꿈도 안꾸고 깊은 잠에 빠져든 상태에서 한다는 점입니다. 천천히 움직이면서 뇌 전체를 깨끗하게 씻어내는 시간대가 바로 깊은 잠에 빠져든 상태를 말하는 거죠.

이렇듯 잠을 충분히 자야지만 우리의 뇌는 하룻동안의 쌓인 독소를 말끔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잠을 깊게 자지 않고 짧고 얕게 잔다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요?

뇌에 독소가 남으면 생기는 병

뇌척수액이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해서 뇌에 독소가 고스란히 남게 되어 이 독소는 알츠하이머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절대로 수면을 경시해서는 안되고 평상시에 똑같은 시간대에 잠을 자고 똑같은 시간만큼 잠을 자줘야 합니다.

뇌에 축적되는 해로운 단백질이 매일 밤 축적되는데 이는 깊은 잠을 자게 되면 뇌척수액이 청소를 말끔히 해주기 때문에 질좋은 잠을 잔 분들은 알츠하이머병에 쉽게 걸리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또한 나이가 들면서 이런 뇌척수액의 활동이 점점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나이가 들어 갈수록 수면의 질이 더욱 강조가 되는 것입니다.

우리의 뇌 건강을 위해서 잠은 무조건 깊게 질높은 수면을 해야 합니다. 주위에도 이러한 사실을 많이 공유해 주시고 알려주세요.

👉 첫 소변은 꼭 확인해 보세요

👉 의사들도 놀란 암재발 방지 전문 버섯

👉 밥맛 없는 아침 공복에 먹으면 보약보다도 좋은 이 음식

※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