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공약 청년도약계좌 1억 만들기 신청 방법 및 가입 조건

윤석열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이 되면서 1억 만들기 청년도약계좌에 관한 공약에 많은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미 청년희망적금에 불붙은 많은 청년들이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길 기대하고 있는데요. 아래에서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억 만들기 청년도약계좌

우선 청년도약계좌의 상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 가입대상 : 근로 사업소득이 있는 만 19~34세 청년
  • 가입기간 : 10년 만기
  • 적립금액 : 총 1억
  • 적금방식 : 매달 70만원 저축, 정부 월 10만~40만원씩을 지원

윤석열 공약중 하나인 청년도약계좌는 연 소득이 2400만원 이하인 분들을 위주로 한 달 30만원을 저축하게 되면 정부가 고정적으로 20만원씩 지원을 해주고 저축액에 비례해서 지원하는 지원금 20만원을 합해서 최대 총 70만원의 저축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지원 대상

이미 많은 분들에게 인기있었던 청년희망적금과 비교해 보겠습니다. 지원대상은 청년도약계좌나 청년희망적금이나 만 19~34세(1987년생~2003년생) 일하는 청년이라는 점은 똑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청년희망적금이 월 5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고 총 2년간 45만 6000원의 혜택을 받는 것과는 다르게 윤석열이 공약했던 청년도약계좌는 월 70만원까지 납입이 가능하며 10년간 5754만원의 혜택이 주어집니다. 단, 납입액은 소득에 따라서 다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는 위에서 말씀드린것처럼 정부지원의 기준이 소득에 따라서 다릅니다. 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이면 매월 40만원을 지원하며, 2400만원~3600만원의 연소득인 분들은 매월 20만원을 지원, 3600만원~4800만원의 연소득을 가지신 분들은 매월 10만원씩 지원을 해줍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및 신청기간

이렇게 청년도약계좌는 신청 대상 가입자들에게 주식형과 채권형, 예금형 중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만약 청년도약계좌에 가입되어 있는 기간에 소득이 많아지면 그 구간에서의 혜택이 적용된다고 합니다.

우선은 윤석열 공약인 1억 만들기 청년도약계좌의 신청방법과 신청기간 및 청년희망적금과의 비교를 알아봤습니다. 이는 윤석열 당선인이 5월 10일 취임식 이후에 정확한 계획이 발표될 예정이니 자세한 사항이 나오면 업데이트하도록 하겠습니다.

※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