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마를 보관할 때 종종 눈에 띄게 싹이 돋아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감자와 같은 구황작물에서는 솔라닌이라는 독성 성분이 감자 싹에 들어있어서 절대로 먹지 못 한다고 알려져 있는데요. 고구마에 난 싹은 먹어도 되는 것일까요?
오늘은 고구마에 난 싹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 활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독소란 독소는 다 빠집니다” 먹기만 해도 몸속에 있는 만성염증은 다 사라지고 간이 살아난다는 이것 |
???? “그냥 이렇게 주무시면 됩니다” 유명 한의사가 알려주는 왼쪽으로 누워자면 거짓말처럼 사라지는 3가지 고질병 |
???? “막힌 혈관이 뻥~뚫립니다” 먹으면 먹을수록 보약이 된다는 들깨가루에 함께 먹으면 혈관 보약이 되는 이것 |
고구마에 난 싹의 영양
고구마에 돋아난 싹은 안전하게 먹을 수 있습니다. 감자 싹과는 달리 고구마 싹에는 독성 물질이 없을뿐더러 오히려 더 영양 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구마 싹은 ‘고구마순’의 일부로, 고구마순은 알려진 바와 같이 영양가가 풍부합니다. 다만, 고구마 싹은 상대적으로 어린 상태이며 크기도 작기 때문에 고구마순에 비해 영양소 함량이 적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항산화 물질인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돼 있습니다.
고구마순의 효능
만일 고구마 싹이 자라서 줄기가 된다면 어떨까요? 고구마순은 항염증 및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의 연구팀이 고구마 끝순(어린 잎을 포함한 줄기 끝 부분) 추출물을 쥐 대식세포에 주입한 결과, 염증 반응이 일어날 때 생성되는 산화질소의 발생량이 최대 76.4%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습니다. 고구마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지만, 식후 혈당을 높이는 당 분해효소인 알파글루코시데이즈의 활성도 최대 81%까지 억제되었습니다.
고구마순에는 루테인, 베타카로틴, 안토시아닌과 같은 성분도 풍부합니다. 루테인은 나이가 들수록 낮아지는 황반색소의 밀도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주황색인 ‘주황미’나 잎자루 재배 전용 품종인 ‘하얀미’와 같이 외부와 내부가 각각 붉고 주황색인 고구마 품종에서는 이러한 성분들이 특히 풍부합니다. 주황미에는 끝순 100g 당 루테인이 47mg 포함되어 있어 시금치와 유사한 수준입니다. 하얀미에는 끝순 100g 당 루테인 42mg, 베타카로틴 183.4mg, 안토시아닌 317.9mg가 함유되어 있습니다.
고구마순 요리
생고구마순은 껍질을 벗겨 먹거나, 통으로 데쳐 국에 넣어 먹을 수 있습니다. 또는 말린 고구마순을 나물처럼 손질하여 먹거나, 밥에 넣어 나물밥을 만드는 것도 맛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