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은행 이율이 치솟고 있는 가운데 또 하나 많은 분들이 좋아할만한 소식이 있습니다. 바로 월 70만원씩 5년만 부으면 5,000만원을 주는 적금인데요. 말그대로 대박이라고 밖에 할 수 없는 적금입니다. 이 방식은 월 납입금의 3~6% 를 정부가 보조하며 여기에 은행 이자가 붙는 방식인데요.
오늘은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란?
윤석열 정부가 내놓은 또 하나의 청년정책으로써 만 19~34세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5년 만기로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금융상품을 말합니다. 이전의 청년희망적금과 매우 유사하지만 그 조건이나 금액이 완전히 다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gM0jy/btrPw0EtqWE/yOIH9w1cbjk6ubSTnZ5c8k/img.png)
✅ 가입대상 : 만 19~34세의 청년 ✅ 소득조건 : 개인소득이 연 6000만원 이하, 가구 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
청년희망적금과 다른 점이 있다면 가구 소득이 추가될 예정입니다. 가구소득과 달리 개인 소득이 낮아서 정부 지원금을 받아가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1인가구 기준으로 올해 중위소득은 월 194만원입니다. 이때 중위소득의 180%는 월 350만원 수준이므로 가입 연령 대상의 30% 정도인 306만명이 가입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특징
정부가 보조하는 금액은 개인의 가구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지급될 예정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2Qre/btrPybyQv84/Piko0gEBdHHqTzUEke3zGK/img.png)
✅ 소득이 낮으면 : 본인 납입금의 6% ✅ 소득이 높으면 : 본인 납입금의 3% ✅ 이자소득은 비과세 적용됨
예를 들어서 월 70만원에 6%의 기여금이 붙게 되면 74만 2000원으로 5년동안 모으면 4,452만원이 됩니다. 여기에 각 은행들에서 제공하는 이자 수익이 추가가 되는데 연 5%로 계산을 하게 되면 약 5,000만원이 계산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방법
우선 2023년에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lg6G/btrPyV9WS73/2l728Pdg3XNCOfOjXAKGe1/img.png)
일단 미리 내년에 적금을 넣을 것을 대비하여 현재 들어가는 금액을 잘 정하셔서 청년도약계좌를 넣을 때 차질이 없도록 미리 준비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일반 적금에 비하면 굉장히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상품이기 때문에 반드시 놓치면 안됩니다.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이 너무나도 크기 때문에 위의 조건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미리 준비하셔서 꼭 놓치지 말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